[이슈+] 정전협정 70주년…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국군포로<br /><br /><br />7월 27일, 내일은 6·25 전쟁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70주년이 되는 날입니다.<br /><br />전쟁 당시 나라를 지키기 위해 전쟁터로 뛰어든 군인 중 수만 명은 끝내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했는데요.<br /><br />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국군포로 문제와 그 가족들의 염원을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손명화 국군포로가족회 대표 나와 계십니다.<br /><br />어서오세요.<br /><br /> 정전협정 70주년이지만, 국군포로 가족들의 고통은 여전히 진행형이 아닐까, 하는 생각이 듭니다. 먼저, 국군포로가족회는 어떤 단체인지 소개부터 해주시죠.<br /><br /> 대표님 역시 국군포로의 2세로, 여러 활동들을 해오고 계신데요. 부친께서도 6·25전쟁 당시 국군포로로 북쪽으로 올라가신 걸로 알고 있습니다. 어쩌다 돌아오시지 못하게 됐는지, 전해 들은 내용이 있는지요?<br /><br /> 북한에 남게된 국군포로들의 고통이 본인에게만 그치지 않고 신분이 대물림돼 그 가족들도 여러 차별 등을 받았다고 하던데요. 국군포로의 자녀로서, 대표님의 삶은 어떠셨는지요?<br /><br /> 그러던 중 아버지가 돌아가셨고, 대표님께선 탈북을 하셨습니다. 탈북을 하시게 된 계기 중에는 아버지의 특별한 유언도 영향을 미쳤다고 들었는데요. 어떤 유언을 남기셨던 건가요?<br /><br /> 부친의 경우처럼 북으로 올라간 국군포로들 대다수가 현재는 많이 돌아가셨다고 하는데요. 가족회에서 추산한 전체 국군포로는 몇 분 정도이고, 현재 북한에 남은 분들은 몇분이나 될까요?<br /><br /> 세월 탓에 국군포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. 그래서 가족회에선 지난 2월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에게 공개서한을 보내기도 했는데요. 어떤 내용이었고, 보내게 된 배경은 무엇이었나요?<br /><br /> 우리 정부가 나선다고 하더라도 북한이 거부한다면, 제대로된 문제 해결이 어려울 것이란 생각도 드는데요.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계획들을 갖고 계시는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